√ 비킬러 67문항, 자료해석 73문항, 킬러 90문항
√ 해설지에 문항별 tip 수록
√ 참고할 만한 기출을 tip에 직접 수록
√ 역대 In/Del 컨텐츠 중 일부 문항 2023 수능 대비에 알맞게 변형하여 문항 수록
√ 비킬러 문항 : 2023 수능 대비에 알맞은 난이도를 조절하여 수록
√ 자료해석, 킬러 문항 : 기출에서 보여준 유형 및 신유형 수록
PALETTE : Introduction
PALETTE는 이전까지 In/Del팀의 커리큘럼과 다르게 전체적인 유형을 다루고 있는 N제입니다. PALETTE라는 이름처럼 2023 수능을 대비하시는 수험생들에게 생명과학I 문항의 밑바탕을 칠해드리려고 합니다. 역대 기출 문항에서 보여진 형식과 논리를 가공하여 Timeline에서 PALETTE로 이어지는 자연스러운 흐름을 보여드리려는 N제입니다.
PALETTE : Guideline
PALETTE에 수록되어 있는 문항은 1~3등급 넓게는 4등급 학생분들도 풀어볼 수 있게 만드려는 N제입니다.
PALETTE : Guideline for 2~3등급
비킬러 문항을 풀어가는 과정에서 기출의 색채를 띄는 문항들은 잘 풀어나가실거라고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출제가능한 선지와 자료해석이더라도 기출의 색채가 아닌 문항과 킬러 문항을 풀 때는 어떻게 접근, 해석을 해야 하는지 막힐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PALETTE를 풀어본 후 헷갈리는 문항에 대해 해설지 Tip에 적혀있는 기출로 이동을 합시다. 기출을 다시금 풀어보면서, 왜 PALETTE의 Tip에는 이 기출이 적혀있고, PALETTE의 해설이 해설해나가는 방향성과 기출문항이 얼마나 유사한 지를 고민하면서 읽어보심을 추천드립니다. 새로운 문항을 만나더라도 풀어보고 해설을 통해 발전해나가는 수험생이 되시길 바랍니다.
PALETTE : Guideline for 1등급 커트라인
비킬러, 자료해석 문항까지 열심히 달려오신 그대, 아마도 시험장에서 킬러 1, 2 문항 정도를 찍거나 버리는 경우도 많으실 겁니다. 이는 대부분 자료해석 문항에 소모된 시간으로 킬러 문항을 풀기에는 시간이 부족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PALETTE의 자료해석 문항에서 제시하는 해석의 방향성을 다시금 곱씹어 보시고, 자료가 제시되었을 때, 무엇부터 생각을 해야하는 지를 바로 잡고 갑시다. 또한, PALETTE의 킬러 문항에서 제시하는 풀이를 읽어보시고 새로운 문항을 볼 때, 어떤 논리를 사용해야 할 지를 생각하고 풀이에 들어가는 습관을 들이도록 합시다. 1등급 커트라인 학생들의 고민인 50점을 고정적으로 받으시길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PALETTE : Guideline for 50점
PALETTE는 50점에 해당하는 학생들을 위해, 이제껏 기출에서 보지 못한 신유형들을 수록해 두었습니다. 이러한 신유형들을 얼마나 빠른 시간안에 해결해 나갈 수 있는 지를 체크해보며, 시간이 오래 걸렸다면, In/Del이 제시하는 해석을 통해 자신이 2023 수능 현장에서 신유형을 마주쳤을 때 어떻게 접근해야할 지를 생각해봅시다. 여러분들은 이미 충분히 잘해오셨습니다. PALETTE와 함께 조금이라도 더 비상해나갈 수 있는 수험생이 되시길 바랍니다.
PALETTE : Thanks for Examinee
최근 수능에서 보여준 자료해석형 문항 및 비킬러 문항의 강화와 시간에 쫓기게 만든 킬러 문항까지 대비 가능하게 준비했습니다. PALETTE를 통해 수능장에서 수험생분들이 이전 기출과 유사한 문항 또는 신유형을 만나도 대비할 수 있는 수험생이 되길 기원합니다.
제작사/추천 서평
기출 문제에 대한 공부가 끝나고나면 경험을 늘리고 기출에서 배운 논리를 실전에서 사용하는 연습을 하기위해 본격적인 문제 풀이를 시작하게 됩니다. 이때 기출을 넘어선 사고를 자연스럽게 연습하고, 동시에 수험 생활의 기본이 되는 기출에 대한 이해도를 탄탄히 하기 위해서는 난이도와 출제 경향성이 기출과의 괴리가 크지 않은 컨텐츠가 필요합니다.
이처럼 기출을 벗어난 첫 발걸음을 떼는 데에 팀 인델의 팔레트는 적절한 역할을 할 컨텐츠가 되어줄 것입니다.
-문강호 선생님(생강)
비유전과 유전 단원을 비킬러와 킬러, 자료해석 단원으로 재구성한 문제 풀이 교재로, 시대 컨텐츠들의 단원 흐름에 맞춰 전단원의 문제 풀이 감각을 균형감 있게 다룬다. 평가원의 보기 구성 형태를 취하되 객관식 문항의 성격을 주관식화하여 지나쳤던 출제 개념들을 정리하고 유전문항 풀이에서의 정확도를 높이고자 하는 수험생들의 수험서로 손색이 없다.
때로는 수험생들이 ㄱㄴㄷ 보기의 조합을 추론해서 각 보기들을 정확하게 읽지 않고 넘어가곤 하는데 소비되어 버렸던 기출의 좋은 보기들을 다시 점검할 수 있게 해준다. 개정 이후 출제된 비킬러와 킬러의 유형이나 난이도는 기존 교육과정에서와 크게 달라지지 않았으나 자료 해석 문항의 자료 제시 형태나 난이도에 따라 전체 시험의 체감 난이도와 바뀔
가능성이 많다. 이 교재에서는 자료 해석의 성격이 강한 준킬러 단원을 별도의 카테고리로 정리해주어 타 교재와 차별성을 갖고 있으며, 변화된 개정 교육과정의 흐름에 잘 맞춰 실전적으로 대비할 수 있게 해준다. 수능에 반영될 가능성이 낮아보이는 괴랄한 신유형이나 고난도 문항을 배제하고 평가원의 성격을 갖는 깔끔한 변형 문항들과 참신한 신유형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어 다양한 스펙트럼의 수험생들이 이질감 없이 공부할 수 있는 교재이다.
-박지윤 선생님